1. 다이버시티 (diversity)
- 선택한다 : 어떤 방법으로 선택하느냐에 따라 신호를 더 잘 받는가?
- 종류 : 공간, 편파, 시간, 주파수 다이버시티
2. 공간다이버시티 (이중안테나 다이버시티)
- 1개의 기지국에서 섹터당 3개의 안테나로 이루어진다, 360도 방면으로 전파를 잘쏘면 전파 손실과 옆 기지국에 간접손실
- 120도로 3개의 섹터로 나누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파방출, 효율적
- 수평안테나 : 안테나를 타우(?) 간격으로 수평으로 넣으면 서로 다른 신호의 세기를 받는다. 이득은 약 3~5dB
- 수직안테나 : 안테나를 타우(?) 간격으로 수직으로 넣으면 서로 다른 신호의 세기를 받는다. 이득은 약 2~4dB
- Simplex 방식 (안테나3개), Duplex 방식 (안테나2개, 한개는 Tx,Rx 같이사용), Cross Pole안테나 (안테나한개의 송수신같이)
- 합성방법
1) Selective 합성 - 두개의 안테나중 큰신호를 택함
2) Equal gain 합성 - 두개의 안테나로부터 도달하는 신호를 같은 이득으로 합침
3) Maximal rate 합성 - 두개의 안테나로부터 도달하는 신호에 대하여 S/N가 높은것에 곱셈을 치하여 두개의 신호를 더함
3. 편파다이버시티
- 수평편파, 수직편파 (서로 직교, 상관관계가 없다. 예를 들어 sin cos 파, iq채널로 송수신)
- 수평,수직편파중에 더 큰신호 detect
- 신호파장의 위상을 직교로 배열하여 송수신, 재활용률 높다
4. 시간다이버시티 (이동통신에서 사용됨)
- 시간적으로 반복하여 같은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수신기에서 반복 수신에 의한 오류확률을 줄이도록 하는 방식
- 연속적인 data보다는 짧은 data에 사용됨
- 다중경로페이딩 : 지형물에 반사가 되어서 여러경로로 다른 시간에 신호가 들어옴, 약간의 시간차, 고스트현상
- rake 수신기 : 휴대폰에도 들어있으며 시간지연에 따라 들어오는 동일한 신호들을 finger에 저장해놓고 한번에 합침
하지만 시간지연차가 크면 ISI(Inter-Symbol-Interference) 현상 발생한다. 보통 finger는 3개나 그 이상사용
시간지연차 밖에서 들어오는 신호는 다 버린다
5. 주파수다이버시티
- 주파수에 따라 신호감쇠가 다르다
- 다른 주파수 2개를 보내면 수신단에서 더 좋은 주파수를 detect한다.
- 문제점 극복 : 신호를 최대한 넓은 대역으로 보낸다 (셀룰러 30kHz, CDMA 1.23MHz , IMT 3.69MHz)
- 광대역 사용시 주파수 페이딩영향이 적다
6. 전파손실에 의한 셀 반경
- 단위비트에너지에 대한 잡음 밀도비 (E/N) : 통화중
- 파일롯 채널에서 신호 대 잡음비 (E/N) : 통화대기
- 기기를 오래사용하면 회로자체내에서 열잡음과 회로잡음지수가 생겨 전파 손실이 올라간다 (약 -113dB)
7. 디지털 통신의 기초
- 원천부호화 : 데이터를 디지털 처리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동시에 데이터를 압축하는 과정
1) 파형부호화방식 : PCM,DM,DPCM,ADPCM 16kbps이상에서 음성보장, 계산률이 작다
2) 음원부호화방식 : 음성 신호의 생성모델에 근거하여 음성 신호로부터 특성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복호화기에서
이 특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는 방식, 음원 부호화 방식은 신호의 파형을 정밀하게
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귀로 들을 때 최대한 원래 신호와 차이가 없도록 소리를 재생
3) 혼성부호화방식 : 두개 섞은것, 8kbps
- 채널부호화 방식 : 오류정정을 위해 사용 (Convolutional Code, CRC code)
1) 순방향 오류정정(FFC)
2) 데이터재전송(ARQ) : 아날로그에서 사용.
- 다중접속 : FDMA, TDMA, CDMA
- 디지털 변복조 : ASK, FSK, PSK, QAM 방식
- 송수신 안테나 : 증폭후 안테나를 통해 전파
8. 음성부호화
- DPCM : 음성신호의 차를 양자화시켜 전송, 복호화기는 전송된 차 신호와 신호아 이전에 재생된 음성신호를 더하여 신호재생
- DM : 오차 신호를 1비트만 양자화하여 전송
- ADM : DM 시스템의 스텝 크기를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는 방식
- ADPCM : DPCM 시스템의 변화된 형태로 음성 신호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예측 및 양자화를 수행하는 방식
- QCELP : CDMA에서 사용됨
1) LSP : 성대의 진동에 따라 나타나는 파라미터
2) AR 예측기 : 과거의 합성값을 이용하여 예측
3) IS-95A : 기존의 QCELP의 알고리즘 일부 수정 후 표준화, LSP양자화과정 사용 그러나 AR예측기는 사용하지 않음
- 가변음성 부호화 (CDMA) : Data rate에 따라 가변으로 변화
1) 셀룰러 : 9600
2) PCS : 14400